Ceramic Studio I Material Lab By JANG.yunkyung


경기도에 위치한 부시시 스튜디오 BUSISI studio는 도자기를 만드는 네 명의 작가들이 함께하는 작업실입니다.

2023년 2월 문을 연 부시시 스튜디오는 1년이 넘게 이름이 없는 조용한 개인 실험실이었습니다. 앞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뒤로는 아파트가 보이며 일방통행 길로만 진입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자리잡은 이 장소는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드러내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스튜디오가 추구하는 방향과 닮아있습니다.

부시시 스튜디오는 관계에 대해 탐구합니다. 특히 교육을 통해 세상과 만나고 소통하며 공예가 가진 가치를 널리 퍼트릴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작업자이면서 교육자이고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는 서로 다른 4명의 도예작가들은 각자 자신이 추구하는 공예성을 교육과정을 통해 전달합니다.  스튜디오가 추구하는 키워드인 Matters; Molten Materials의 앞 세 글자는 곧 이 공간의 정체성이기도 합니다.  스튜디오가 보여주고자 하는 관계성, 물질성, 그리고 관계에는 어떤 한계도 경계도 없음을 의미합니다. BUSISI studio는 재료를 잠재된 가능성을 가진 물질로 생각하며, 각각의 작업자로서 주제를 연구하는 한편, 공방교육을 통해 함께하는 공예문화의 향유 방식을 고민하며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BUSISI studio, located in Gyeonggi-do, is a Material Lab that explores the glazes. BUSISI Studio opened in February 2023 was a quiet, private space with no name for over a year. Located in a unique position with the Han River flowing in front, apartments behind, and only accessible through a one-way street, the space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elements.

BUSISI Studio explores the relationships. We believe that through education, we can meet and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widely spread the value of crafts. Four different ceramic artists who are both workers and educators and explore various topics convey the craftsmanship they each pursue through the curriculum. The first three letters of Matters; Molten Materials, the keywords pursued by the studio, are also the identity of this space. The connected shape of three M signifies that there are no limits or boundaries. As seen in the name, MMM studio experiments the ways to show materials as substances with possibilities.

Material Experiment
Ceramic & Craft Theory Workshop
Clay and Glaze Study


JangYunkyung, Matters D1-8630, 2024
HwangBoyeon, 백자육층합, 2023
Choiain, Transcendental Curve, 2023
MunHaesom, 2023
ARISTS

장윤경 @Jang.yunkyung
서울여자대학교 조형학과 박사 재학
유약을 이용한 조형 작업 


황보연 
@boyeonhwang_ceramics
국민대학교 도예과 석사 졸업
물레성형을 기반으로 한 다층합

  
최아인
@_choiain 
서울여자대학교 조형학과 석사 재학
핸드빌딩으로 표현하는 예술과 수학의 연결고리


문해솜
@haesom.mun
서울여자대학교 조형학과 석사 재학
판성형으로 세우는 건축 골조의 조형화





Project 1 : 행복한 공예교육 2024 공예특화 프로그램

2024 행복한 공예교육: 공예특화 프로그램은 지역의 공방을 중심으로 전국의 공예가들이 직접 문화소외계층과 만나 자유롭게 공예 문화를 퍼트리는 프로젝트입니다. 

부시시 스튜디오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15주의 도예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며,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구리청년센터와 연계하여 자립준비청년을 모집했습니다. 교육은 15주동안 진행되며, 코일링부터 판성형, 물레성형까지 경험할 수 있도록 기본에 충실한 커리큘럼으로 구성했습니다. 

교육종료 후 커뮤니티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단톡방을 만들어 팀웍을 다지고, 전체 교육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필요한 재료와 구입처를 알 수 있도록 나만의 테이블웨어 만들기를 주제로 한 책자를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협력기관인 구리청년센터에도 출강하여 도자기 페인팅 특강을 진행했으며 스튜디오의 공예가들이 교육자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공방교육 전문가인 배세진 작가님의 공방에 직접 방문하여 공방교육의 방향성과 작가로서의 균형 등을 주제로 한 특강을 12월 11일 진행합니다.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예치유공간 흙즐김에서 개최하는 결과전시에 참여하기로 하는 등 공예가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육 종료 후에는 모든 과정을 담은 결과보고서를 제작할 예정입니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 문화서울역284 RTO
참여: 장윤경, 황보연, 문해솜, 최아인 역할: 스튜디오 대표, 기획 및 운영


Project 2 : 행복한 공예교육 2023

2023 행복한 공예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사업으로 공예가들과 문화소외계층을 연결해 공예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에 공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교육 운영 프로그램입니다.

행복한 공예장터는 서울 전역의 여러 협력 기관 및 공방에서 이루어진 10주간의 교육결과물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도자, 섬유, 가죽, 옻칠, 금속, 목공, 매듭, 3D 등 공예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수업을 편성하였으며, 판매전을 통해 교육참여자들의 경험을 확장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자본 마련의 창구를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공예가와 교육 참여자들 모두에게 축제의 현장이 될 수 있도록 공예가들의 작품도 함께 전시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관람객들이 곁에 두고 오래 사용하는 공예품들을 보며 일상의 아름다움을 돌아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본 전시를 통해 공예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지기를 바라며, 전시를 찾으시는 분들이 공예를 함께 나누고 공예교육의 의의를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 노들섬 노들갤러리 2관 
참여: 보조연구원, 산학협력원  역할: 예산담당, 판매전 및 결과보고서 제작 


Project 3 : 행복한 공예교육 2022

2022 행복한 공예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
관하는 사업으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공예가들과 협업하여 문화소외계층에 공예교
육을 통해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는 교육 운영 프로그램입니다.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은 ‘공유공예’를 모토로 나눌수록 풍성해지는 행복한
공예 교육을 위해 도자, 섬유, 영상, 목공, 유리, 스테인드글라스, 3D, 금속 등의 다양한 분야의 공예교육을 편성하여 서울 전역을 아우르는 다양한 자치구에서 수업
을 진행하였습니다.

10주간의 교육을 통해 서울지역의 공예가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였고, 이를 토대
로 교육 참여자들이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공예의 즐거움을 깨닫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운영하였습니다. 교육 연령과 성별에 제한이 없이, 공예가와 교육참여자가
어우러져 지속적으로 교육한 결과 다양한 작업들이 탄생하였습니다. 공예 교육을
진행하며 교육 참여자들이 느꼈던 즐거움과 어려움, 그 과정에서 피어나는 깨달음
과 뿌듯함을 함께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일상과 가까운 곳에 두고 즐길 수 있는 공예품을 제작하는 공예 교육 프로그램 결
과 전시회를 통해 문화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곳까지 비춰주는 나눌수록 행복해지
는 공예의 가치를 느껴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 헬로우뮤지움
참여: 보조연구원
역할: 행정총괄, 예산
 



Project 4 : 대학생대상 공예·디자인 교육 2022
            대상 수상


「대학생대상 공예·디자인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교육 과정으로, 공예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2011년에 처음 시행되어 2022년까지 1,811명의 수료생을 배출했습니다.

현대 공예와 디자인은 서로의 영역에서 창조적 협업을 시도하며 주목할 만한 결과물을 산출해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현장은 공예와 디자인의 장르적 구분을 넘어 다양한 분야와 창의적으로 소통하는 인재를 요구합니다.전문성과 실무감각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매년 공모로 선정된 대학교에 전통공예 기술 전수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디자인을 접목하는 수업 운영을 지원합니다. 전통문화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이론과 실습이 통합된 공예·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전공 지식 뿐만 아니라 응용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2년 사업에 참여한 5개교는 각각의 공예 장인과 연계한 교육과정을 통해 전통 공예 기술과 자원을 현대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분야와 접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 육성에 힘썼습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유기와 옻칠, 목원대학교는 청자, 서울여자대학교는 분청, 세종대학교는 소목 그리고 홍익대학교는 타렴 옹기를 주제로 삼아 젊은 감성을 입혀 재해석했습니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 KCDF갤러리
참여: 보조연구원 
역할: 수업보조, 행정총괄, 예산